EN
연구분야
기후환경연구분야
탄소가치연구분야
에너지사업분야
연구활동
정책연구
수탁연구
정책브리프
기타 활동
정보마당
포럼/세미나
자료실
기후변화동향
MOU체결
기후변화 정보포탈
고객마당
연구아이디어제안
Q&A
알림마당
공지사항
언론속의 KRIC
보도자료
타기관소식
행사안내
행사 갤러리
디지털 아카이브
연구원소개
인사말
설립취지
연혁
비전·목표·추진전략
조직도
연구원자격
CI 소개
찾아오시는길
채용정보
정보공개
경영공시
행정정보공개
정보공개청구
경영방침
윤리경영
인권경영
고객만족경영
클린신고센터
연구활동
정책브리프
정책연구
수탁연구
정책브리프
기타 활동
정책브리프
정책브리프
완료
IPCC 제5차 평가보고서에 따른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정책 적용방안
년도 : 2013
연구책임자 : 이상신 책임연구원
발주처 :
첨부파일
첨부파일 :
[교정] 브리프13-10_1129_이상신.pdf (1.9 MB)
Issue
기후변화의 과학적 근거를 다루는 실무그룹
Ⅰ
(WG
Ⅰ
)
보고서가
2013
년
9
월 승인됨
WG
Ⅰ
에서는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로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채택함
새로운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기후변화 전망결과 온도 상승 및 극한기후 현상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돼 이에 대한 대응방안 마련이 필요함
기상청에서는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국가 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로 채택하고
, RCP
시나리오를 적응정책에 활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음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개정에 따라 기초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 계획수립이 의무화됨
Argument
기후전망결과
2100
년 전지구 최대
4.7
℃
,
한반도 최대
6.0
℃
의 기온 상승이 예측되고
,
우리나라는 가까운
시일인
2020
년까지
1.1
℃∼
1.5
℃
기온상승이 전망되어
,
최악의 경우 지난
100
년간 일어난 기후변화인
1.
8
℃
상승이
2020
년 내에 발생할 가능성 있음
한반도에서는
2100
년 겨울이
44
일 줄고 여름은
39
일 증가하며
, 2100
년까지 폭염일수
(
최대
7.2
배
),
열대야
일수
(15.0
배
)
등 극한기후 발생빈도 증가가 예측됨
RCP8.5
시나리오에서는 세기말 강원일부지역을 제
외하고 전국이 아열대 기후구로 변할 것으로 전망함
2011
년 화천 등
20
개
, 2012
년 원주 등
15
개 기초 지자체가 적응대책 세부시행 계획수립 시범사업 대상으로
지정되었고
,
이외 모든 기초 지자체는
2015
년
1
월
1
일까지 계획을 수립
·
시행해야 함
Note
SRES
시나리오에 바탕을 둔 적응정책은
RCP
시나리오 결과와 비교
·
분석 후 정책의 수정
·
보완이 필요함
지역여건을 고려한 목표 시나리오 설정 후 해당 시나리오 전망에 맞는 적응 정책 추진이 요구됨
지역 극한기후지수
,
취약성 평가를 통한 취약계층 적응정책을 우선 추진해야 함
지역 기후변화 전망결과에 대한 교육
·
홍보를 통한 적응인식도 제고로 적응정책 추진 여건 마련 시급
RCP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제작된
‘
강원지역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 계획수립 가이드라인
’
과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강원도 영향 연구
’
결과를 적극 활용하여 효율적인 시
·
군 적응계획 수립 유도
기상법 개정
(2014
년
1
월 예정
)
에 따라
‘
국가표준 기후변화 시나리오 인증제도
’
가 시행되므로 적응계획 수
립 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
기초 지자체별 기후변화 상세 분석보고서
’
을 바탕으로 적응계획 수립 필요
2020
년대 기온 상승률이 높게 나타난 강릉
,
동해
,
삼척의 경우 적응계획 수립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남
목록